본문 바로가기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청년들의 목돈 마련 필수 체크사항

one's way 2025. 3. 18.


청년도약계좌, 왜 필요할까?

청년들에게 가장 큰 고민 중 하나는 ‘미래를 위한 목돈 마련’입니다. 매달 월급을 받아도 생활비와 각종 고정 지출을 감당하고 나면 저축할 돈이 남지 않는 경우가 많죠. 특히, 집값 상승과 높은 물가로 인해 재테크 없이 목돈을 모으기란 쉽지 않습니다.

이런 고민을 해결하기 위해 정부가 지원하는 금융 상품이 바로 ‘청년도약계좌’입니다. 이 계좌는 단순한 저축 상품이 아니라, 정부의 지원금이 추가로 지급되고 비과세 혜택까지 받을 수 있어 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돕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청년도약계좌, 왜 필요할까?
청년도약계좌, 왜 필요할까?

하지만, 모든 청년이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가입하려면 일정한 조건을 충족해야 하는데요. 오늘은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을 자세하게 정리해보겠습니다. 내가 가입 대상인지 확인하고, 정부 지원 혜택을 최대한 활용하세요!

 

청년도약계좌 가입 조건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하려면 연령, 소득, 가구 소득,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 여부 등의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하나씩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가입 연령 조건: 만 19세부터 34세까지

1) 가입일 기준 만 19세 이상~만 34세 이하의 대한민국 청년이 대상입니다.

2) 단, 군 복무 기간이 있는 경우 연령 제한이 완화됩니다.

3) 병역 의무를 이행한 경우 복무 기간(최대 6년)을 연령 계산에서 제외하여 최대 40세까지 가입 가능합니다.

4) 예시: 1990년생이지만 2020년까지 군 복무를 2년 했을 경우 → 실제 가입 가능 나이는 2024년(34세) + 복무 기간(2년) = 36세까지 가능!

이처럼 병역 이행자의 경우 가입 가능 연령이 늘어날 수 있으므로 꼭 확인하세요!

2. 개인 소득 조건: 연 7,500만 원 이하

개인의 소득 수준에 따라 정부 지원 여부가 결정되는데요. 연 소득이 일정 금액 이하여야 가입이 가능합니다.

1) 직전 과세기간(1년) 총 급여액이 7,500만 원 이하

즉, 직장인의 경우 연봉 7,500만 원 이하여야 가입 가능

2) 종합소득금액 6,300만 원 이하

프리랜서, 개인사업자 등도 해당 기준을 충족해야 가입 가능

3) 추가 정보

총 급여액 = 기본급 + 각종 수당 + 상여금 등 모든 급여 포함

비과세 소득(식대, 자녀 교육비 등)은 제외됨

예시 1) 가입 가능 사례

김철수 씨는 연봉 5,000만 원의 직장인 → 가입 가능

예시 2) 가입 불가능 사례

이영희 씨는 프리랜서로 종합소득금액이 7,000만 원 → 가입 불가

즉, 직장인이라면 연봉 7,500만 원 이하, 프리랜서·사업자는 종합소득금액 6,300만 원 이하인 경우 가입이 가능합니다.

3. 가구 소득 조건: 기준 중위소득 250% 이하

청년도약계좌는 가구 소득 수준도 중요한 가입 기준 중 하나입니다. 기준 중위소득의 250% 이하여야 가입이 가능합니다.

✔ 기준 중위소득 250% 이하란?

정부는 매년 ‘기준 중위소득’을 발표하는데, 가입자의 가구 소득이 이 기준의 250% 이하일 경우 가입할 수 있습니다.

가족 구성원 수에 따라 기준 중위소득이 다르므로, 본인의 가족 구성원에 맞게 확인해야 합니다.

2024년 기준 중위소득 250% 이하 조건표

가구원 수 기준 중위소득(100%) 가입 가능 최대 소득(250%)
1인 가구 2,224,205원 5,560,512원
2인 가구 3,683,862원 9,209,655원
3인 가구 4,747,034원 11,867,585원
4인 가구 5,805,483원 14,513,708원

즉, 4인 가구 기준으로 월 소득이 1,451만 원 이하라면 가입 가능!

(가족의 소득 합산 기준이므로 부모님과 함께 거주하는 경우 부모님의 소득도 포함됩니다.)

4.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자가 아닐 것

금융소득이 많은 고소득층은 청년도약계좌의 혜택을 받을 수 없습니다.

가입 제한 대상

1) 가입일이 속한 과세기간 직전 3개 연도 중 1회라도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이면 가입 불가

2)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 이자·배당 소득이 연 2,000만 원 이상인 경우

3) 예시

은행 예금 이자로만 연 2,500만 원을 받는 A씨 → 가입 불가

예금 이자·배당금 합쳐서 연 1,800만 원인 B씨 → 가입 가능

즉, 예금·주식 배당 등에서 발생하는 금융소득이 연 2,000만 원 미만이어야 가입할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 조건
청년도약계좌 가입 조건

 

청년도약계좌 가입 조건, 미리 체크하고 혜택 받자!

청년도약계좌는 정부 지원과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좋은 금융 상품입니다. 다만, 가입 조건이 정해져 있으므로 미리 본인의 소득과 가구 소득을 체크해야 합니다.

✔ 가입 가능 여부 체크리스트

1. 만 19~34세 (군 복무 시 최대 40세까지)

2. 연 소득 7,500만 원 이하 (프리랜서·사업자는 종합소득금액 6,300만 원 이하)

3. 가구 소득 기준 중위소득 250% 이하

4.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가 아닐 것

만약 가입 조건을 충족한다면, 청년도약계좌를 적극 활용해 미래를 위한 목돈을 마련해 보세요!

 

댓글